masara

티스토리 뷰


 피와 씨앗은 예로부터 번영과 가족의 상징이다. 씨를 뿌리는 것은 곧 성관계를 통한 새 생명의 탄생을, 피는 바로 그 혈통으로 이루어진 가문의 번영을 의미한다. 연극 <피와 씨앗>은 그런 의미에서 상징성이 다분한 극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작중의 피는 전혀 다른 의미로써 극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아이작은 교도소 복역 도중 외출하여 극중의 무대공간으로 들어온다. 바로 소피아의 집이다. 소피아의 집에는 어텀과 바이올렛이 함께 살고 있다. 이성적이고 예의바른 소피아와 감정적이고 거친 바이올렛은 대조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들이 원하는 것은 단 하나, 어텀의 생명연장이다. 그리고 그러기 위해선 아이작의 장기가 필요하다. 극은 아이작의 장기기증을 바라는 두 여자와 그 행동의 정당성을 저울에 재고 있는 보호관찰관 버트의 입을 통해 직접적으로 주제를 전달한다. 바로 “희생”이다.



 신화와 신앙 속에는 반드시 희생이 등장한다. 신에게 바치는 재물은 번영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였다. 연극 <피와 씨앗>속의 밀알의 여신 역시 피를 요구한다. 밀짚인형에 피를 채워 넣으면 번영을 가져다준다는 주기도문은 섬뜩하지만 어디선가 들어봄직한, 어느 역사에서나 찾아볼 수 있을 법한 보편적 신화의 이야기다. 그리고 이 희생의 구조는 연극의 인물들의 관계와 갈등 속으로 고스란히 내려온다. 어텀의 어머니 썸머의 죽음은 아이작의 실수와 치기 어린 호기심에 의한 참사였지만, 밀밭에 흩뿌려진 피는 출산의 이미지를 떠오르게 만들기 충분하다. 어텀은 썸머의 피, 즉 썸머의 희생을 통해 탄생한다. 썸머의 씨앗은 피와 함께 대지에 흩뿌려졌고, 어텀은 대를 이어 탄생한 2세, 번영이 될 그녀의 연장선이다. 그리고 이제 어텀은 아버지 아이작의 피, 즉 아이작의 희생을 필요로 한다. 소피아와 바이올렛은 마치 밀알의 여신에게 재물을 바치기 위해 짐승을 잡던 마을 사람들처럼 아이작의 목으로 칼을 들이댄다. 어텀은 마치 두 사람의 안녕과 번영을 가져다 줄 밀알의 여신과 같은 위치에 놓인 것처럼 보인다. 작중 무대 전면은 어텀의 링거대에 매달린 카메라의 화면 영상을 보여주는 스크린으로 활용되었는데, 이 때문에 객석은 마치 어텀이 아닌 제 3의 시점, 즉 보이지 않는 존재가 집을 걸어 다니는 것 같은 인상을 받는다. 마치 신의 시선처럼 말이다. 이 신의 시선은 병으로 몸부림치는 어텀, 증오에 사로잡힌 바이올렛, 여유를 잃어가는 초조한 소피아, 미래에 대한 희망과 끔찍한 죄책감 속에서 허덕이는 아이작, 그리고 이 세 사람을 관조하며 도덕적 저울을 재는 바트를 연달아 비춘다. 신이 원하는 것은 진정 희생일까?

 연극 <피와 씨앗>에 등장하는 주기도문에는 흥미로운 단어가 있다. 바로 “속죄”다. 밀알의 여신을 향한 기도에는 “피로서 속죄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연극 <피와 씨앗>속 희생은 번영을 위한 토대가 아니다. 희생으로서 속죄하는 것이다. 작중의 피는 “번영”이 아닌 “속죄”였던 것이다.

 무대에서 피가 직접적으로 등장한 것은 바이올렛이 양을 사냥한 이후부터다. 바이올렛은 비닐에 감싸인 양 시체를 무대 한쪽에 전시해놓곤 양동이에 핏물을 받는다. 다음 날 가족과 버트는 핏물로 물들어 분홍빛을 띤 죽을 나눠받지만 이 죽에 손댄 사람은 아무도 없다. 어텀이 산통을 깨뜨리기 때문이다. 어텀의 진실공방은 그녀를 마치 밀알의 여신, 희생으로써만 번영할 수 있으며 자신들을 구원할 존재로 상정하는 바이올렛과 소피아의 기대를 산산이 부순다. 어텀은 깊은 고통 속에서 삶의 의지를 포기한 한 인간 소녀일 뿐이며, 타인의 희생을 필요치도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이작의 장기기증은 희생이 될 수 없었다. 그것은 어텀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 어텀은 이 사실을 아이작에게만 폭로함으로써 그에게 속죄의 길을 제시한다. 아이러니하게도 아이작은 어텀에게 장기기증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는 그 순간 진정 어텀을 위한 희생을 하게 된다. 그리고 그의 속죄를 입증하듯 바이올렛이 뒤엎은 양동이의 피는 그를 가득 적신다.

 소피아는 병든 말 라일라를 수술할 시기를 놓치고, 바이올렛이 든 총에는 총탄이 없었으며, 심지어 강제로 아이작의 장기를 꺼내려는 두 사람의 이후 행보는 연출로 인해 보여 지지 않는다. 두 인물은 충분히 피와 접촉할 수 있었음에도 배제되어 있었다. 피의 테마가 희생이었더라면 수년 간 투병하는 어텀의 수발을 든 소피아와 바이올렛 역시 좋든 싫든 피와 접촉했을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피의 테마는 속죄였다. 그리고 작중 피와 직접적으로 접촉한 사람은 아이작 뿐이었다. 연극 <피와 씨앗>은 이런 연출을 통해 희생은 번영의 발판이 될 수 없으며 오로지 속죄로써만 힘을 발휘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 극의 제목이 <피의 번영>, 즉 <피의 씨앗>이 아닌 <피와 씨앗>인 이유는 다름 아닌 여기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우리의 신이 진정 원하던 “희생”이란 이웃과 짐승, 즉 외부세계의 피가 아닌 우리 내면의 피, 요컨대 속죄가 아니었을까. ■ 180901


comment